경기도가 수소산업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미니 수소도시 조성사업’에 참여할 지자체를 모집한다고 31일 밝혔다. 미니 수소도시는 각 지자체에서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내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자족적 탄소중립 도시를 말한다.
이번 사업은 경기도가 지난 2021년부터 추진 중인 ‘지역 맞춤형 수소융합 테마도시’와 규모와 형태 면에서 다르다. 안산시는 국토교통부 수소시범도시로 선정돼 수소 생산부터 이송, 활용까지 가능한 수소 인프라를 조성하고 있다. 또, 평택시는 오는 2026년까지 평택항 일원에 총 470억원을 투입해 산업·도시·항만을 연계한 수소 인프라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 이번에 새롭게 추진하는 ‘미니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경기도 민선8기 공약사항인 ‘수소융합 클러스터 조성’에 따른 것이다.
경기도 첨단모빌리티산업과 관계자는 중기이코노미와의 통화에서 “국토부 수소도시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하고 있는 평택, 안산시와는 달리, 이번 사업은 경기도 자체 사업으로 진행하는 것”이라며, “기존에 진행하고 있는 수소도시 사업대상지는 제외한다”고 말했다.
이어 “규모는 작지만,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경기도내 31개 시·군 중에서 수소도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지자체를 발굴하기 위한 것”이라며, “국토부 사업의 경우 수소 생산부터 연료전지, 충전소 등이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요소고, 지역별로 특화요소가 포함돼야 한다는 조건이 있지만, 미니 수소도시 조성사업은 기초지자체가 원하는 사업모델을 계획하고, 신청하면 된다. 여기에는 생산시설, 충전소 등의 요소가 필수로 포함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일례로, 기존에 설치한 수소 충전소 옆에 소규모의 수소 생산시설을 구축해 충전소에 수소를 공급한다거나, 인근 마을에 연료전지를 설치해서 수소를 공급하는 모델도 가능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즉, 규모는 작더라도 미니 수소도시 내에서 수소를 생산하고 전력을 공급하고 수소차를 확대하는 등 지자체에서 자율적으로 자족할 수 있는 모델을 발굴하는 것이 목적이다.
관계자는 “이번 사업을 통해 작지만, 내실 있는 친환경 수소에너지 자족 소도시를 조성해 탄소중립 실현뿐만 아니라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사업은 시·군, 공공기관, 민간사업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하며, 사업에 선정된 시군에 3년 동안 총사업비의 50% 이내(도비 최대 50억원)를 지원할 계획이다. ▲민선8기 경기도 공약사업 연계 ▲청정수소 생산 ▲기구축 수소 기반 시설 활용 등은 가점이 부여된다.
올해는 1개 시·군을 선정할 예정이며, 도시, 농촌, 산업단지, 관광지 등 다양한 곳에서 조성할 수 있고 규모는 제한이 없다. 신청 기간은 오는 10월 6일까지고, 1차 서류검토와 2차 전문가 심사를 거쳐 지원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다. 중기이코노미 김범규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